[번역서] 오경의 형성

Excerpt

조엘 베이든의 The Composition of the Pentateuch의 한글 번역서입니다. 제가 번역했고, CLC에서 출판했습니다. 학술서로서 깊이가 있으며, 매우 쉽게 쓰였기 때문에 일반 자들도 충분히 읽을 수있습니다.
composition of the pentateuch

오경의 형성: 문서가설 새롭게 하기

이 책은 미국 예일 대학 Joel Baden이 쓴 The Composition of the Pentateuch: Renewing the Documentary Hypothesis를 내가 한글로 번역한 책이다. 오경 분석 방법론 중 문서가설을 상세히 다루는 책이다. 2023년 11월에 출판되었다.

오경은 서사상의 단절, 모순, 반복 등 때문에 있는 그대로 읽어 나갈 때 다양한 해석의 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문제를 인식한 구약 학자들은 이미 중세 시대부터 오경의 형성사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며 다양한 가설을 제시했는데, 그중 20 세기의 해법을 대표하는 설명 방식이 문서가설(Documentary Hypothesis)이다. 이 가설은 오경이 다양한 자료를 취합하여 형성된 고대의 문서라고 가정하고, 어떤 자료들이 어떤 편집 과정을 거쳐 최종본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설명한다.

21세기 들어 고전적 문서가설은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보충가설이나

단편가설을 따르는 학자들에게 문서가설은 더 이상 유효한 방법론이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베이든은 전통적으로 인정 받던 J. E. D. P 문서 모두를 독립 본문으로 주장한다. 그는 각 문서에 해당하는 단락들을 오경에서 추출하여 연결하면 완벽하게 매끄러운 서사로 복원이 가능함을 논증한다. 이런 주장은 지나치게 오경의 형성 과정을 단순화하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그럼에도 베이든은 광범위한 조사와 정교한 본문 분석을 제시하여 그의 새로운 문서가설을 설득력 있게 주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나아가 문서 자료의 분석을 통한 오경 연구의 필요성을 되살린 것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그런 이유로 베이든은 소위 ‘신문서가설'(Neo Documentary Hypothesis) 학파로 불리기도 한다.

한국 성서 학계에서는 오경의 형성에 대한 전문 학술 서적이 대단히 부족한 상황이다. 문서가설을 비롯해서 그외 다른 오경 연구 방법에 대해 다루는 책들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 책만큼 광범위하고 자세하게 다양한 본문 예시를 들어 오경의 연구 방법론들을 소개하고 그 장단점을 논하여 오경의 형성을 다루는 책은 거의 없다(이 책은 문서가설의 타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다른 접근법들도 자세히 소개하여 그 장단점을 논한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개인 연구에 유용하며, 나아가 오경의 학문적 쟁점을 성경 본문을 통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오경 수업’을 진행하고자 한다면 더없이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이 책은 학술서로서 매우 심도 있는 내용을 다루지만 설명이 쉽고 명쾌하기 때문에 대중서로서도 손색이 없다.

구약성경 중에서 기독교인들이 가장 익숙하게 알고 있다고 자부하는 책은 단연 오경일 것이다. 그러나 목회자를 포함한 대부분의 성경 독자들은 오경 내에 얼마나 많은 문제가 있는지 잘 모르고 있다. 예컨대 출애굽기의 ‘홍해 이야기’를 읽는 독자들은 단지 물이 갈라져 좌우에 벽이 되었다고 이해할 뿐, 본문에 기록된 다른 진술, 즉 밤새도록 바람이 불어 마른 땅이 되었다는 내용이 어떻게 물이 벽이 되는 현상과 조화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별로 깊이 생각하지 않는다. 이렇듯 오경은 가장 잘 알려진 책임에도 불구하고 그 세부 내용의 복잡성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이 없이는 정확히 이해하기 어려운 책이다. 베이든의 책은 각 자료들(JEDP)이 가진 서사의 통일성과 완결성을 오경 본문을 통해 쉽게 보여 주기 때문에, 일반 독자들도 이 책을 읽어 가면서 오경의 복잡한 내용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되며 새로운 관점도 습득ㅎ사게 된다. 그런 이유로 이 책은 연구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일반 독자들에게도 오경을 정확히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이다.


* 기독일보에서 이 책에 대한 기사를 작성해 주셨습니다: 오경 본문 속에 들어 있는 불일치,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 

Leave a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