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서 번역 시리즈(8): “지혜와 명철”(전 7:25)

Excerpt

구약성경, 특히 지혜문헌에는 ‘지혜와 명철’이 짝을 이루며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지혜는 ‘호크마’의 번역이며 명철은 ‘비나’의 번역이다. 그런데 ‘명철’로 번역된 본문에 ‘비나’가 아닌 다른 어휘가 쓰이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전 7:25, 27; 9:10에는 ‘헤쉬본’, ‘헤쉬보노트’, ‘힛샤본’ 등의 어휘가 쓰였다. 개역개정에는 단순히 ‘명철’이란 말로 번역되어 있지만 ‘명철’이란 표현은 해당 어휘의 의미를 정확히 전달하지 못한다. 이 포스트는 이 어휘들의 구체적 의미를 바탕으로 해당 구절들이 갖는 뜻을 설명한다.
owl
Image by Gordon Johnson from Pixabay

개역개정 번역에서 ‘명철’이라는 표현은 ‘지혜’와 쌍을 이루며 빈번히 등장하며, 특히 구약성경의 지혜문헌에서 많이 등장한다. 예컨대 요셉이 바로에게 조언하는 장면에서 ‘명철하고 지혜 있는 사람을 택하여 애굽 땅을 다스리게 하시고'(창 41:33)라고 표현한 것이나, 욥기에서 소위 ‘사색적 지혜시’라 불리는 28장에서 ‘지혜는 어디서 얻으며 명철이 있는 곳은 어디인고?'(28:12)라고 표현하며 인간 지혜/명철의 한계를 표현한 부분이나, 시편 49편의 고라 자손의 시에서 ‘내 입은 지혜를 말하겠고 내 마음은 명철을 작은 소리로 읊조리리로다'(49:3)라고 말하며 지혜와 명철을 동일시하는 부분을 예로 들 수 있고, 잠언의 경우는 너무 예시가 많아 일일이 나열하기 번거로울 정도다(대한성서공회의 성경읽기 게시판에서 ‘명철’을 검색어로 찾아 보면 잠언에 얼마나 많은 예시가 나오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다).

히브리어 원문에서 ‘지혜’는 חכמה(호크마)로, ‘명철’은 동사 בין(빈)에서 파생된 명사들의 형태(תבונה트부나, בינה비나 등)로 표현되어 있다. 다만 지혜문헌에서 지혜와 관련된 능력을 표현하는 어휘는 이보다 다양한데 반해, 이에 대한 우리말 대응어는 그리 다양하지 않아서 בינה(비나) 혹은 תבונה(트부나)가 아닌 경우에도 종종 ‘명철’로 옮기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ערום(아룸)에서 파생된 ערמה(오르마)는 잠 8:12에서 의인화된 ‘지혜 여인’(소위 Lady Wisdom)을 묘사하는 어휘로 쓰였는데, 개역한글은 이를 ‘명철’로 번역했다. 이 번역은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ערמה(오르마)는 당연한 말이지만 תבונה/בינה(비나/트부나)가 아닐 뿐만 아니라 ‘명철’처럼 순수하게 긍정적으로만 사용되는 말도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같은 어근에서 파생된 ערום(아룸)은 창 3:1에서 뱀을 묘사하는데 쓰였는데, 개역개정은 뱀이 가장 ‘명철했다’고 이해하지 않고 ‘간교했다’로 이해했기 때문이다. 

Eve's eating forbidden fruit
Image by Jeff Jacobs from Pixabay

‘명철’로 번역된 전 7:25의 히브리어 어휘도 תבונה/בינה(비나/트부나)가 아니라 חשבון(헤쉬본)이다. 이 말은 구약성경의 ‘헤스본’이라는 지역의 명칭과 동일한 철자를 가지고 있지만 어원상 연관성은 없다. 지혜의 일종으로 『개역개정』에서 ‘명철’로 옮겨진 이 어휘는, HALOT에서는 ‘reckoning’, ‘conclusion’으로 설명하며,  마이클 폭스(Michael Fox)는 이를 ‘arithmatic reckoning’ 혹은 ‘calculation’으로 이해하고, C. L. 시아오(Seow)는 이 어휘가 문자적으로 ‘meticulous accounting’의 의미를 갖는다고 설명한다.

물론 문맥상의 의미는 이러한 사전적 의미에 국한될 필요는 없으나, 그 해석이 최소한 문자적 의미에서 확장된 개념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문자적 의미는 중요하다. 즉 개역개정의 전 7:25 번역에 쓰인 ‘명철’은 이러한 문자적 의미를 거의 유추할 수 없다는 점과, 지혜문헌에서 흔히 사용되는 ‘지혜와 명철’이라는 쌍을 이루는 관용적 표현에 쓰인 תבונה/בינה를 연상시킨다는 점에서 아쉬운 점이 있는 번역이다. 

나아가 חשבון(헤쉬본)은 전 7:27과 9:10에도 사용되었는데, 7:27에는 ‘이치’로, 9:10에는 ‘계획’으로 번역되었다. 또한 7:29에는 유사 어휘인 חשבנות(헤쉬보노트)가 쓰였는데 이 어휘는 위에 언급한 ‘헤스본’이 아닌 חשבון(힛샤본)(plan, invention)의 여성 복수 형태이다(자음은 같고 모음만 다른 어휘).

시아오에 따르면 힛샤본(חשבון)은 헤쉬본(חשבון)을 염두에 두고 사용한 일종의 언어유희로, 이 언어유희를 최대한 살려 영어로 옮겨 본다면  חשבון(헤쉬본)이 ‘inventory’고 חשבנות(헤쉬보노트>힛샤본)는 ‘invention’이 된다. 즉 코헬렛은 사람이 지혜를 찾고자 하더라도 이는 ‘품목 일람(inventory)의 숫자 헤아림(חשבון헤쉬본)’ 정도에 그칠 뿐이며 ‘지혜에 들지도 못할 것을 고안(invention, חשבנות헤쉬보노트)’해 냈을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개역개정은 חשבנות(헤쉬보노트)를 ‘꾀’라고 번역했다).

개역개정이 이 어휘들(חשבנות ,חשבון)을 번역하기 위해 사용한 ‘명철’, ‘이치’, ‘계획’, ‘’ 등은 동일 어휘를, 그리고 언어유희로 사용될 만큼 유사한 단어들을 너무 이질적으로 표현했다는 느낌을 준다. 그래서 내가 제안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이 어휘들(특히 חשבון(헤쉬본))이 가진 기본 개념은 세세히 따지고 헤아려 보아 결론에 다다르는 인간적인 지혜이다. 이 지혜는 코헬렛이 인생의 의미를 깨닫고자 경험하거나 실행했던 많은 일들의 과정에서 그를 이끌어 왔던 것이지만 그는 의미를 알 수 없었다. 그래서 코헬렛은 7장 25절에서 חכמה(호크마)라는 ‘참된 지혜’를 일컫는 표현에 더하여 חשבון(헤쉬본) 혹은 חשבנות(헤쉬보노트)라는 표현을 추가로 사용하기 시작했고, 그 후로 7장에서는 더 이상 חכמה(호크마)를 쓰지 않고 줄곧 חשבון(헤쉬본)과 חשבנות(헤쉬보노트)만 사용하여 자신이 추구했던 지혜가 חכמה(호크마)가 아니였음을 암시하고자 했다.

따라서 문맥상 חכמה(호크마)와 차별화되는, 한계를 갖는 인간의 지혜 혹은 한계가 분명한 지혜 추구 방식을 말한다는 점에서 חשבון(헤쉬본)과 חשבנות(헤쉬보노트)는 ‘[알 수 없는] 해답’, ‘[끝이 없는] 헤아려 보기’ 혹은 ‘[결국 찾지 못 할] 답을 찾을 궁리’라는 표현으로 번역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표현이 적용된 아래 구절들을 보라.

7:25 나는, 즉 내 마음은 아는 것과 조사하는 것, 즉 지혜(חכמה)와 해답(חשבון)을 찾고자 하였으며 사악함은 우매한 것이며 어리석음은 광기임을 알고자 하였다.

7:27 “보라, 이것을 내가 발견했다.” 코헬렛이 말했다. “하나씩 하나씩 헤아려 보기(חשבון)위해 [노력했다].

7:29 오직 이것을 보아라. 나는 신께서 인간을 바르게 만드셨음을 발견했다. 그러나 그들은 많은 ‘답을 찾을 궁리’(חשבנות)만 했다.”

9:10 너의 손이 찾게 되는 모든 할 일! 너의 힘을 다해 하라! 네가 가게 될 스올, 거기에는 일도, ‘답을 찾을 궁리’(חשבנות)도, 지식도, 지혜도 없기 때문이다.

Leave a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