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Cross)의 신명기역사 분석(2)

Excerpt

이 글은 다음 글을 요약한 것임: Frank M. Cross, “The Themes of the Book of Kings and the Structure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in Reconsidering Israel and Judah: Recent Studies on the Deuteronomistic History, ed. Gary N. Knoppers and J. Gordon McConville (Winona Lake: Eisenbrauns, 2000). 참고: Knoppers와 McConville가 펴낸 이 책은 크로스의 책, Canaanite Myth and Hebrew Epic (1973)의 한 단락(274-89)을 재편찬한 것임.
Frank Moore Cross
Jack1956, CC BY-SA 3.0, via Wikimedia Commons

크로스의 2중 편집설 -1

신명기역사 제1판(Dtr1)의 두 가지 주제

  1. 신명기역사의 구조는 그의 신학을 통해 짜여져 있고, 두 개의 큰 주제를 통해 통합되어 있다.
  2. 신명기역사의 두 주제는 ‘여호보암의 죄’와 ‘다윗의 신실함’이다.
  3. 이 두 주제는 요시야판(Josianic edition)이라고 할 수 있는 첫 번째 신명기역(Dtr1)사에 모두 녹아 있다.

여로보암의 죄

  1. 이 주제는 왕상 13:34에 잘 드러나 있다: 이 일이 여로보암 집에 죄가 되어 그 집이 땅 위에서 끊어져 멸망하게 되니라
  2. 이 주제 그리고 왕상 13:34과 유사한 구절은 이후로 반복하여 고지된다: 아히야의 여로보암에 대한 예언(왕상 15:29); 예후의 바아사에 대한 예언(왕상 16:1-4) 엘리야의 아합에 대한 예언(왕상 21:17-29) 등
  3. 위 언급한 예언에 사용된 수사는 반복되어 일종의 후렴구 같은 역할을 한다.
  4. 위 예언들은 악한 왕들의 비참한 죽음으로 그 성취가 부분적으로 입증되며, 사마리아의 함락으로 최종 성취된다.
  5. 사마리아의 함락으로 신명기역사가 주는 긴장감은 첫 번째 정점에 다다른다.

다윗의 신실함

  1. 이 주제는 삼하 7에서 시작하여 열왕기로 지속되어 흘러간다.
  2. 첫 번째 주제와 마찬가지로 후렴구와 같은 반복된 수사를 활용한다: “내 종 다윗과 내가 택한 예루살렘을 위하여” (왕상 11:12, 13, 32, 34, 36; 15:4; 왕하 8:19; 19;34(cf 사 37:35); 20:6)
  3. 첫 번째 주제와 대조적으로 두 번째 주제는 ‘다윗의 신실함’이라는 희망적 관점을 보인다.
  4. 다윗의 신실함은 하나님이 영원히 지키시기로 한 약속의 근거가 되는데, 신명기사가는 특별히 시 89:20-38에 등장하는 ‘왕실 전례 의식'(royal liturgy)을 활용한다(cf. 삼하 7:11b-16, 18-29)
  5. 신명기사가는 이스라엘의 왕들을 모두 정죄하지만 유다의 왕들은 다윗과 비교하며 종종 칭송하기도 한다.
  6. 신명기사가는 요시야에 대하여는 아무 흠도 잡지 않는다. 그는 다윗에 대해서도 문제를 삼은 바 있기 때문에 요시야를 전혀 비판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요시야 시대가 신명기역사의 정점임을 알려 준다.

두 주제의 함의

  1. Dtr1은 요시야 개혁과 제국주의 강령을 위한 선전용 문서이다.
  2. 이 문서는 북이스라엘에게 유다로 다시 돌아오라고 촉구한다. 또한 유다에게는 야웨의 계약으로 돌아올 것을 촉구한다. 이는 회개를 의미한다.
  3. 신명기사가는 두 주제를 활용하여 복잡하고도 설득력있는 일종의 설교이다. 이 설교는 야웨와의 계약에 복종함으로 새로운 구원의 가능성을 열자고 가르치며, 그 구원의 희망이 두 번째 다윗이라고 할 수 있는 요시야 시대에 있다고 가르친다.

Leave a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