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은 아래 스크립트를 참고하세요.
페 pē는 베가드케파트 문자로 (1) 기본 소리와 (2) 부드러운 소리, 두 가지 발음을 갖습니다. 어떤 베가드케파트 문자들은 이론적으로만 소리의 강약을 구분했지만 페 pē의 경우는 베트와 비슷한 변화를 나타냅니다. 실제로 발음이 변한단 말이죠.
(1) 기본 소리(강한 소리)
기본 발음은 영문으로 /p/ 한글로 /ㅍ/ 정도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이제 여러 번 설명을 했기 때문에 이해를 다 잘 하시리라 생각합니다. 자음을 영문과 한글로 표기할 때의 발음 차이가 있죠. 영문의 p는 유음 혹은 유성음입니다. 자음 자체가 소리를 가지고 있다는 말이죠.
하지만 ㅍ은 그 자체로는 소리가 없습니다. 모음이 닿아야 비로소 소리를 만들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p와 ㅍ의 경우 단어의 첫 자음으로 쓰일 때는 차이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p는 성대를 쓰지 않고 입술로만 소리를 내기 때문입니다. 이런 경우 음성학에서는 ‘무성음‘이라고 표현하는데요. 제가 한글과 대조하기 위해서 영어의 자음이 ‘유음’ 혹은 ‘유성음’ 이라고 했다가 또 p이 ‘무성음’이라고 해서 혼동이 되실 텐데, 이게 헷갈리시는 분들은 영어의 자음은 ‘유음’이고 한글 자음은 ‘무음’이다… 이렇게 이해해 주시고, ‘유음’이 다시 성대를 쓰는 여부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나뉜다고 이해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페 pē가 초성으로 쓰인 ‘바로‘라는 단어는 본래 ‘파르오‘라고 발음해야 하느데요. 이 경우 한글로 쓰던 영어로 쓰던 첫 소리에서 발음의 차이는 없습니다.
그리고 받침에 쓰이는 경우는 지금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 자음이 받침에 쓰인다는 것은 모음 다음에 놓인다는 것이고, 그렇다면 그 발음은 본래의 강한 p혹은 ㅍ발음이 아니라 부드러워진 발음이기 때문입니다.
(2) 부드러운 소리
페 pē가 부드러워질 때의 발음은 영문자 f나 혹은 ph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p라는 기본 소리에 기음을 더한 소리라는 의미로 h를 추가한 것이죠. 이건 다른 베가드케파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발음은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 있는 영어의 f발음이구요. 히브리어 단어로 한 번 연습을 해 보겠습니다.
여러분 ‘아삽’이란 이름 들어 보셨죠. 시편에 보편 ‘아삽의 시’라고 소개된 시편들이 종종 있는데요(시 50, 73-83편, 대상 6:31-48에 나오는 레위인의 족보에 등장하는 인물이고, 찬양을 인도하는 직무를 맡은 것으로 소개됨). 이 이름의 ‘삽’에 ㅂ에 쓰인 문자가 바로 페가 되겠습니다. 히브리어 방식으로 발음하면 ʾāsāph 가 됩니다. ‘사’의 ‘ㅏ’모음 바로 뒤에 페 pē가 나오면서 소리가 부드러워지고 ph 혹은 f로 발음이 된 거죠.
여기서 주목해 보실 부분이 바로 ‘삽’의 한글 표기에 받침으로 ㅂ을 썼다는 거예요. 페 pē가 부드러워져서 f로 발음해야 하는 이런 경우 한글로는 표기할 수 없죠. 그러니까 보통 이럴 때는 불가피하게 ㅍ을 씁니다. 하지만 한글로는 ㅍ이 폐쇄음을 만들 뿐 소리를 내지 않기 때문에 결국 ‘샆’이라고 ㅍ받침을 서도 소리 자체는 ‘삽’이라는 ㅂ 받침의 표기와 소리가 같습니다. 그래서 국립국어원이 정한 규칙의 외래어 표기법에는 ㅍ같은 문자는 아예 ㅍ을 받침으로 쓸 수 없게 되어 있기도 합니다. 참고 하시면 좋겠구요.
다른 단어 하나 더 연습해 보겠습니다. 여러분 여호와 라파라는 말 들어 보셨죠. 치료하시는 여호와라는 말인데요. ‘라파’는 치료하다라는 동사고 정확히 말하면 ‘그가 치료 했다’라고 이해하는 것이 맞습니다. 아무튼 이 단어의 ‘파’의 초성에 쓰인 문자가 페 pē인데요. 이 경우는 아까 언급한 ‘파르오’와 달리 ‘라’의 ‘아’ 모음 바로 뒤에 ‘페’가 나왔기 때문에 ㅍ이나 p 로 발음하지 않고 부드러워진 f로 발음을 해야 합니다. 따라서 여호와 rāphâ 라고 발음해야 합니다.
(3) 표기법
페 pē의 표기법은 다른 베가드케파트 문자와 동일합니다.
기본적으로 강한 소리를 가지고 있지만 강한 소리를 낼 때는 강하다는 표기로 다게쉬 레네(연강점)을 찍어 주게 되어 있구요. 모음 뒤에서 부드러워질 때는 변한 소리이긴 하지만 오히려 기본 문자를 그대로 쓰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