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로몬인가 코헬렛인가?

Excerpt

전도서의 주화자는 히브리어로 ‘코헬렛’인데, 책의 서두에 그를 ‘다윗의 아들, 이스라엘의 왕’이라고 소개하고 있어서 대부분 독자들은 그를 솔로몬으로 이해한다. 하지만 전도서에 ‘솔로몬’이란 이름은 등장하지 않으며 저작 연대상의 문제로 솔로몬일 수도 없다. 이 글은 전도서의 화자가 누구인지에 대해 다룬다.

1. 전도서. . .  흥미로운 해석의 난제들이 참 많은 책이다. 그 중에서도 이 책에 나오는 주인공의 진짜 정체가 무엇인지는 이 글의 독자로서 가장 먼저 풀어야 할 숙제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주인공의 정체가 당연히 솔로몬이라고 믿고 쭉 그렇게만 생각을 해 온 사람이라면 이 글의 주인공의 정체가 궁금하지도 그리고 어떤 면에서 이 글이 그렇게 흥미로운 난제를 담고 있는 책인지 아마 잘 느끼지 못할 수 도 있다. 

만일 당신이 그런 사람들 중 하나라면 이 글은 전도서에 대한 새로운 눈을 뜨게 해줄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너무 겁먹을 것은 없다. 단지 우리는 성경 본문의 역사에 한 발짝 다가갈 뿐이다.

2. 코헬렛은 이전 글에서 이미 설명한 것 처럼 전도서의 주인공이다. ‘전도서’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말 역본들에서는 이 주인공을 거의 ‘전도자’라고 표현하기 때문에 코헬렛이란 말은 사실 별로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가톨릭 성경에서는 전도서를 ‘코헬렛’이라고 칭하고 있고 물론 그 주인공 역시 ‘코헬렛’이라고 부르고 있기 때문에 이 ‘코헬렛’이라는 표현을 천주교에서는 이미 사용하고 있는 듯 하고, 따라서 ‘코헬렛’이란 말이 한국기독교인들에게 아주 생소한 표현은 아닌 듯 하다. 

(참고로 가톨릭 성경은 천주교중앙협의회에서 지난 2005년 ‘성경’이란 이름으로 새롭게 펴낸 역본을 ‘성경’이라는 단어가 너무 포괄적이어서 대안으로 사용하고 있는 용어.)

crown

3. 그런데 전도서라는 책이 구약성경에서 잠언 다음에 나오는데다 이 책의 서두에 ‘다윗의 아들, 이스라엘의 왕, 전도자의 말이다’라는 표현을 쓰고 있어 이 책의 독자들은 전도자(코헬렛)라는 표현은 무심코 지나가고 오로지 다윗의 아들이면서 동시에 이스라엘의 왕이라는 표현이 암시하는 ‘솔로몬’만을 떠올리게 된다. 

잠언도 솔로몬의 책이라고 첫 머리에 소개되어 있는데다가 그 다음에 나오는 책도 다윗의 아들이 쓴 책이라고 소개를 하니 자연히 이 책이, 전도자(코헬렛)가 누구건 간에, 솔로몬의 책이며 소위 ‘전도자’는 솔로몬이 스스로를 그렇게 칭한 것이라는 정도로 여기게 된다.

4. 이 구절 말고도 이 책의 첫 부분에는 솔로몬을 연상시키는 내용들이 꽤 나온다. 일단 1:12–2:26을 보면 우리의 주인공은 자신의 마치 솔로몬과 같이 이 세상에서 가장 지혜로운 사람이라고 말하며 그 덕에 자신은 어마어마한 부와 명예를 얻게 되었다고 자랑한다. 그리고 열왕기에서 솔로몬의 말년에 대해 부정적으로 그리듯 전도서에서도 이 전도자라는 자는 그렇게 부와 명예를 한 껏 누린 삶이 결국 덧없고 의미 없었음을 깨닫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이렇게 보면 이 글은 정말 솔로몬의 글처럼 보인다. (참고로 열왕기에서 그리고 있는 솔로몬의 이야기도 현대 사회에서 정의하는 혹은 사회과학적 방법으로 쓰여진 소위 ‘역사’로 인정받으려면 고대문헌들을 비교하여 역사적 사실성을 입증해야 하는데 그 이야기는 일단 제쳐두자)

5. 하지만 학자들은 이 부분을 ‘Royal fiction'(왕실 허구)이라고 부른다. 풀어보자면 이글은 실화가 아니라 솔로몬의 왕실을 연상시키는 소설 혹은 허구라는 것이다. 왜 학자들은 늘 이렇게 불경스런 생각들을 서슴치 않고 말하는 것일까?

6. 과연 이 글이 솔로몬의 글인지 아닌지 한 번 차근차근 알아보자. 이 글의 주인공이 솔로몬이라는 정황적 근거는 이미 소개를 했다. 하지만 이 정황적 근거가 솔로몬 저작설이라던가 이 글의 화자가 진짜 솔로몬이라는 결정적 증거가 될 수는 없다. 누구든 솔로몬인척 글을 쓸 수는 있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면 이 글의 주인공이 진짜 솔로몬인지는 사실 알 수가 없다.

7. 거기에 더해 이 글에서는 ‘솔로몬’이라는 이름이 등장하지 않는다. 잠언에서는 그나마 ‘솔로몬의 잠언’이란 표현 정도는 등장한다. 그러나 여기선 아니다. 솔로몬이란 이름은 이 글의 처음부터 끝까지 단 한번도 등장하지 않는다. 코헬렛이란 말이 등장할 뿐이다. ‘코헬렛’이 무엇인지는 이전 글에서 설명을 했으니 여기선 생략한다. 아무튼 코헬렛은 솔로몬이 확실히 아니다. 그는 그냥 코헬렛이다. 그런데 코헬렛은 왜 솔로몬이 아닌가?

8. 솔로몬은 다윗의 아들이며 기원전 10세기 경의 인물이다. 지금으로부터 무려 3000여년 전의 인물인 것이다. 모든 글은 그 시대를 담는다. 우리가 TV에서 혹은 영화관에서 보는 많은 시대극들 혹은 공상과학 영화나 극들은 지금과 전혀 다른 시대를 그리고 있는 듯 보이지만 종종 그 핵심에는 현 시대의 정치, 사회, 문화, 경제, 사상에 관련된 문제를 다루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뭔가 다르게 그리게 하려고 하는 부분 마저도 사실 은연 중에 그 저자의 시대를 종종 발설하게 된다. 전도서도 예외는 아니다.

9. 학문적으로 전도서의 저작 연대를 측정하는 일은 상당히 논란이 많이 되었던 것 중 하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학자들 중 전도서의 연대를 기원전 10세기로 추정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봐도 과언은 아니다. 그 중 가장 결정적인 근거는 다음과 같다. 

본문 2:5과 8:11에는 각각 ‘파르데심‘(파르데스의 복수형, 과수원)이라는 단어와 ‘피트감’(평결)이라는 단어가 등장하는데 이 단어들은 페르시아 외래어이다. 이스라엘이 바벨론에의해서 멸망당한 시기가 대략 기원전 6세기 경이며, 이어 페르시아가 바벨론을 이기고 중동세계를 제패했던 시기가 대략 5세기 이후이다. 

전도서에 페르시아에서 빌려온 외래어가 등장한다는 것은 이 글이 솔로몬의 시기, 즉 통일 왕국 이스라엘의 왕정 초기에 쓰여진 책일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뜻하며 나아가서 이 두 페르시아 단어가 본래 있던 히브리어를 대체하고 유대인들의 문화에 자리잡을 정도의 시간을 고려한다면 이 책은 아무리 일러도 기원전 5세기 이전에 쓰였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여전히 약간 논란이 있지만 대체로 이 글은 기원전 3세기정도로 여겨진다. (이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지나치게 학문적인 이야기가 될 것이기 때문에 생략) 솔로몬이 이 책을 썼을 가능성이 만무하다면 도대체 왜 이 주인공은 자신이 다윗의 아들이며 이스라엘의 왕이라고 했을까? 

이제 나의 독자들은 이런 것들에 대한 대답을 해주길 바랄 것이다. 하지만 그런 것은 이 글의 주제가 아니고 읽는 사람의 판단과 해석에 달린 문제기 때문에 미안하게도 여기선 언급하지 않을 것이다. 아무튼 코헬렛의 정체는 무엇이며 왜 솔로몬인척 하여 글을 전개하였으며 궁극적으로 무엇을 위해 이 글을 썼는지 상당히 궁금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솔로몬이 아닌 누군가가 기원전 3세기 경에 이 책을 썼다고 상상하며 이 책을 읽는다면 전도서가 주는 새로운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2 thoughts on “솔로몬인가 코헬렛인가?”

  1. Pingback: Solomon or Qohelet? – unofficial bible ・ 언오피셜 바이블

  2. Pingback: Solomon or Qohelet? - unofficialbible.com

Leave a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