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기독교, 그리고 사회 분열

주제: 인지 양분화 현상(Cognitive Systemic Dichotomization)

요약한 논문 제목: ‘Cognitive Systemic Dichotomization’ in Public Argumentation and Controversies by Dascal, Knoll, and Cohen, Ontario Society of the Study of Argumentation 2011

들어가는 말

어느 사회나 마찬가지지만 한국 사회 역시 상당한 수준의 갈등과 분열을 경험하고 있다. 그리고 기독교 자체가 사회 분열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많고, 또 몇몇 사회 이슈의 경우에 있어서는 기독교인들이 분열을 가중시키는 경우도 많다. 그러다 보니 기독교는 많은 사람들에게 비난을 받고 있으며 기독교인들도 (특별히 정치적인 사안에 있어서) 많은 사람들을 비난하고 있다. 나는 이러한 갈등이 사라지고 기독교 신앙을 가졌든 가지지 않았든 서로 존중하고 공생할 수 있는 문화가 생기길 바라는 마음이다. 물론 그러려면 기독교인들이 반성해야 할 부분이 많다. 하지만 기독교와 신도들을 ‘개’ 취급(예컨대 개독, 개독교)하는 문화도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있다. 신도 개개인의 다층적, 입체적 실존을 간과하고 순수 악으로 축소하고 단정하는 것도 그리 성숙한 태도는 아니다.

그래서 나는 이러한 갈등 문제의 근본 원인을 찾고 싶었고, 이런저런 논문을 찾아 보던 중 사회 갈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학문 분야에 소위 ‘논쟁학'(study of argumentation)이라는 것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중 내가 찾은 논문은 “‘Cognitive Systemic Dichotomization’ in Public Argumentation and Controversies”라는 글이다. 이 논문은 ‘기독교와 사회 분열’에 관한 것은 아니지만 사회 분열의 근원에 대해서 잘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그 내용을 이해하고 기독교 관련 사회 문제에 적용한다면 갈등 해소를 위한 생각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 이 포스트에 요약해 보려고 한다.

Continue reading “정치, 기독교, 그리고 사회 분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