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명기역사

Thomas Römer
Historical Books 역사서

토마스 뢰머(T. RÖMER)의 신명기 연구(3): 신명기의 ‘조상’

이 글은 토마스 뢰머의 신명기 연구의 요약 세 번째 글이다(Thomas Römer, “Deuteronomy in Search of Origins” in Reconsidering Israel and Judah: Recent Studies on the Deuteronomistic History, ed. Gary N. Knoppers and J. Gordon McConville (Winona Lake: Eisenbrauns, 2000)). 이 글에서는 뢰머가 주장하는 바, 신명기의 ‘조상’이 뢰머의 말 대로 정말 애굽에서 거주하던 ‘조상’을 의미하는 것인지, 다시 말해서 족장들은 신명기사가가 염두에 두지 않았던 것인지를 확인한다.

Thomas Römer
Historical Books 역사서

토마스 뢰머(T. Römer)의 신명기 연구(2): 두 가지 기원 설화

이 글은 토마스 뢰머의 신명기 연구의 요약 두 번째 글이다(Thomas Römer, “Deuteronomy in Search of Origins” in Reconsidering Israel and Judah: Recent Studies on the Deuteronomistic History, ed. Gary N. Knoppers and J. Gordon McConville (Winona Lake: Eisenbrauns, 2000)). 이 글에서는 지난 ‘얼개’에서 자세히 언급하지 않은 기원 설화에 대한 그의 관점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원글에 없는 설명이나 예시도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가했으나 굳이 언급하지는 않았다.

Thomas Römer
Historical Books 역사서

토마스 뢰머(T. Römer)의 신명기 연구(1): 얼개

이 글은 토마스 뢰머의 연구를 요약한 것이다(Thomas Römer, “Deuteronomy in Search of Origins” in Reconsidering Israel and Judah: Recent Studies on the Deuteronomistic History, ed. Gary N. Knoppers and J. Gordon McConville (Winona Lake: Eisenbrauns, 2000)). 그는 신명기적 역사의 서문 역할을 하는 신명기가 어떻게 최종적으로 오경의 결말 역할까지 담당하는 특별한 위치에 놓이게 되었는지에 대해 연구한다. 첫 번째 요약글에서는 그의 연구의 전체적 얼개만 언급할 것이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의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예시나 설명을 첨가했으나 그의 주장과 나의 설명을 따로 구분하하여 표기하지는 않았다.

스멘트(R. Smend)의 신명기역사 분석

이 글은 스멘트의 연구를 요약한 것으로, 그는 신명기역사가 ‘율법적 편집자(DtrN)’에 의해 편집되었다고 주장한다. 스멘트는 특히 여호수서의 두 부분(13:1과 23:1)에서 ‘노년 고지’가 반복되는 것을 편집의 증거로 보았고, 이는 신명기역사 텍스트의 특정 양식을 나타낸다. 그의 제자 W. Dietrich는 후속 연구에서 예언적 편집자(DtrP)의 존재를 추가로 주장하며 이론을 확장하였다.

Frank Moore Cross
Historical Books 역사서

크로스(Cross)의 신명기역사 분석(4)

크로스의 2중 편집설 시리즈의 마지막 포스트: 여기서는 서로 다른 시대와 관점을 가진 Dtr1과 Dtr2가 얽혀 있는 신명기역사가 독자에게 줄 수 있는 효과에 대한 그의 생각을 진술하며 그의 글을 마무리한다.(참고: Frank M. Cross, “The Themes of the Book of Kings and the Structure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크로스(Cross)의 신명기역사 분석(3)

이 전 글에서는 크로스의 신명기역사에 대한 이해와 그의 2중 편집설에서 첫 번째 문서(Dtr1)에 대한 그의 생각을 정리했다. 이 글에서는 2중편집설의 두 번째 문서(Dtr2)에 대한 그의 생각을 요약한다.(참고: Frank M. Cross, “The Themes of the Book of Kings and the Structure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Frank Moore Cross
Historical Books 역사서

크로스(Cross)의 신명기역사 분석(2)

이 글은 다음 글을 요약한 것임: Frank M. Cross, “The Themes of the Book of Kings and the Structure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in Reconsidering Israel and Judah: Recent Studies on the Deuteronomistic History, ed. Gary N. Knoppers and J. Gordon McConville (Winona Lake: Eisenbrauns, 2000). 참고: Knoppers와 McConville가 펴낸 이 책은 크로스의 책, Canaanite Myth and Hebrew Epic (1973)의 한 단락(274-89)을 재편찬한 것임.

Frank Moore Cross
Historical Books 역사서

크로스(Cross)의 신명기역사 분석(1)

이 글은 다음 글을 요약한 것임: Frank M. Cross, “The Themes of the Book of Kings and the Structure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in Reconsidering Israel and Judah: Recent Studies on the Deuteronomistic History, ed. Gary N. Knoppers and J. Gordon McConville (Winona Lake: Eisenbrauns, 2000). 참고: Knoppers와 McConville가 펴낸 이 책은 크로스의 책, Canaanite Myth and Hebrew Epic (1973)의 한 단락(274-89)을 재편찬한 것임.

여호수아와 신명기(3)

들어가는 말 나는 이미 ‘여호수아와 신명기’라는 제목과 주제로 두 개의 글을 올렸다. 그 글의 주된 관심은 ① 신명기가 앞선 네 권의 책(창~민)과 뚜렷하게 구분된다는 점과

여호수아와 신명기(2)

들어가는 말 이 글은 ‘신명기와 여호수아’라는 주제로 쓰는 두 번째 글이다. 지난 글에서는 이 주제를 다루기 위한 배경을 설명하기 위해 먼저 신명기 자체에 대한 이야기를

여호수아와 신명기(1)

들어가는 말 여호수아와 신명기의 관련성에 대해서 이해하려면 먼저 신명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래서 이 포스트에서는 신명기에 대한 기초적인 사항을 먼저 알아 보고 그 다음 여호수아와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