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기멜 gî-mel / gimel

Excerpt

히브리어 자음 기멜 gî-mel의 발음과 표기법 설명–베가드케파트 문자로서 본연의 강한 소리와 모음 앞에서 부드러워진 소리. 각각의 경우 표기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목차

기멜 gî-mel베트bêth와 마찬가지로 (1) 기본 소리와 (2) 부드러운 소리, 두 가지 발음을 갖습니다. 다시 말해서 기멜베가드케파트 문자 중 하나라는 말입니다.

(1) 기본 소리(강한 소리)

먼저 기본 소리인 강한 소리는 기멜 gî-mel 이란 명칭의 첫소리인 영문자 g 혹은 한글 ㄱ에 해당하는 발음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음역을 할 때도 보통 g나 을 사용하게 됩니다.

그런데 베트에서도 설명했던 것처럼 영문자 g와 한글 ㄱ은 비슷하지만 엄밀히 말해서 서로 다른 음가를 가지고 있죠.

영문자 g는 유성음으로 /g/ 이런 소리를 내야 하고, 한글 ㄱ은 무성음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소리를 낼 수 없고 반드시 모음과 닿아야만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문으로 발음하면 /gî-mel/ 이런 식으로 발음하게 되고 한글로 발음하면 /기멜/ 이런 식으로 발음하게 됩니다.

한국인이 이 자음을 ‘기멜’이라고 발음하는 것은 사실 큰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보다 정확한 발음을 적어도 알고는 있어야 하겠죠.

그리고 처음부터 되도록 정확하게 발음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앞으로의 학습에도 더 좋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튼 기멜 gî-mel의 강한 소리, 즉 기본 발음은 ‘g‘ 이 정도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2) 부드러운 소리

gî-mel의 부드러운 소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부드러운 소리’의 개념을 복습해 보겠습니다. 제가 ‘다게쉬’ 강의에서 언급한 것처럼 베가드케파트 문자가 부드러운 소리로 변한다는 것은 본래 강한 소리에 공기를 더 많이 섞어서 소리를 내는 거죠. 그래서 ‘베트’의 겨우 강한 소리는 /b/이지만 부드러운 소리는 /v/가 된다고 했습니다.

기멜의 경우는 이론적으로는 ‘부드러운 소리‘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음역할 때 강한 소리인 g에 공기를 더 섞어 준다는 뜻으로 h를 추가해서 gh로 음역하거나 gh에 밑줄을 그어 표기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기멜의 경우 g와 gh의 소리의 차이가 실질적으로는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대에는 이 발음의 차이가 있었는지 모르겠으나 지금은 기멜의 경우 대부분 강한 기본 소리와 부드러워진 소리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강한 소리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발음을 구분하지 않는다면 굳이 발음을 이론적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나 싶은 생각이 드실 텐데요.

하지만 실제로 읽을 때 발음을 구분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론적으로 발음을 구분할 필요는 있습니다. 왜냐하면 히브리어 성경, 즉 마소라 본문에는 강한 소리와 부드러운 소리의 표기가 다르고, 따라서 음역을 할 때의 표기도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3) 표기법

기멜은 베트와 더불어서 베가드케파트 문자입니다. 모든 베가드케파트 문자는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강한 소리와 부드러운 소리를 갖습니다.

강한 소리가 기본 소리라고 했지요? 그러면 언제 부드러운 소리로 변할까요? 그 자음이 모음 뒤에 이어 나올 때 베가드케파트 문자는 부드러워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부분이 숙지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 계속 반복해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이번 영상에도서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히브리어 ‘에벤에셀‘에서 ‘에벤‘이라는 말 아시죠? 여기서 ‘‘의 은 베가드케파트 문자인 ‘베트‘가 쓰였습니다. 그런데 그 앞에 ‘‘는 모음으로 끝난 개음절이죠. 모음 ‘에’에 이어 나오는 베트는 모음의 바로 뒤에 이어 나왔기 때문에 본연의 강한 /b/소리를 내는 것이 아니라 부드러워진 소리 /v/소리를 내야 한다는 거예요. 그러니까 에벤이 아니라 e-ven이 되겠죠.

이와 같이 기멜도 그 앞에 모음이 있느냐 자음이 있느냐에 따라 강한 소리를 낼 때와 부드러운 소리를 낼 때가 결정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골리앗‘이란 단어는 기멜이 이 단어의 첫 자음이예요. 그러면 앞에 모음이 없기 때문에 강한 기본 소리를 갖게 되고 표기는 그냥 g를 쓰게 됩니다. 하지만 이 경우 히브리어로는 강한 소리라는 표기를 하기 위해서 dagesh lene 연강점을 찍어야만 합니다.

다른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다니엘의 친구 ‘아벳느고’라는 이름에서 ‘느고‘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이 단어는 히브리어로 ‘네고‘라고 발음할 수 있는데요. 여기서 ‘‘에 기멜이 쓰였습니다. 그리고 그 바로 앞에는 ‘‘의 /ㅔ/가 모음으로 끝났죠. 그러니까 이 경우는 이론적으로 기멜의 부드러운 소리가 나와야 한다는 것이고, 따라서 음역할 때 그냥 g가 아니라 gh 혹은 밑줄을 친 gh 를 써야 한다는 겁니다.

하지만 히브리어로 직접 쓸 때는 강하지 않은 소리기 때문에 연강점을 쓰지 않아야 합니다. 결국 그냥 기멜의 일반적인 모양을 쓰고 그대로 두면 부드러워진 소리를 표기하게 됩니다.(영상으로 히브리어 쓰는 법을 확인하세요)

Leave a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Scroll to Top